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ZIM 주가 전망 -고배당주, 해운주 향방 -

by 주차한입 2023. 7. 17.
반응형

오늘 소개해드릴 기업은 고배당주로 유명한 ZIM(짐)입니다.

짐은 작년 한 해만 27.55 달러를 배당한 고배당주로 유명합니다.

올해 1분기 배당은 주가 $18 기준 $6.40로 주가기준 30%의 상당한 고배당주입니다. 

실적악화로 2분기 배당은 하지 않았지만 주주친화적인 기업으로 유명하죠.

 

 


짐(ZIM) 기업 개요

 

 

짐(ZIM)은 1945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 회사입니다.

미국, 유럽, 아시아 등 9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냉동컨테이너, 고체 폐기물, 브레이크 벌크, 자동차, 고위험 물질 등

매우 다양한 물건들을 운송합니다. 최근 환경규제 강화로

LNG선박을 구매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올해 3월 LNG 한 척이

첫 운임을 했으며, 앞으로 9척이 더 추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offshore-energy.biz/zims-lng-powered-ultra-large-containership-sets-sail-on-maiden-voyage/

 

ZIM's LNG-powered ultra-large containership sets sail on maiden voyage

ZIM Sammy Ofer, the first LNG-fuelled containership to join ZIM's fleet, has kick-started its maiden voyage, the Israeli company said.

www.offshore-energy.biz

 

 


ZIM 배당

 

 

배도 크지만 회사의 통도 상당히 큽니다.

ZIM의 CEO는 1분기 실적발표를 하며, 연간 순이익의 30%~50%를 

배당금으로 분배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당락일 지급날짜 배당 금액
2023년 4월 4일 2023년 4월 3일 $6.40
2022년 11월 28일 2022년 12월 7일 $2.95
2022년 8월 26일 2022년 9월 8일 $4.75
2022년 5월 27일 2022년 6월 8일 $2.85
2022년 3월 22일 2022년 4월 4일 $17.00
2021년 12월 15일 2021년 12월 27일 $2.50
2021년 8월 24일 2021년 9월 15일 $2.00

2023년 2분기의 경우 실적악화로 배당을 지급하지 않았지만

지난 배당을 보며 알 수 있듯이 상당히 고배당주입니다.

 

 


ZIM 주가 전망

 

 

출처 - 인베스팅

2021년 1월 나스닥에 상장된 후 코로나 특수로 

2022년 3월 최고가 $84.5를 찍은 후 현재 주가는 $13.59 정도입니다.

코로나로 2021년, 2022년 어닝쇼크를 일으키며 2020년 대비 매출이

2배 이상 뛰었었죠.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뻥튀기된 운임비용이 

정상화되고, 수요 또한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면서 실적은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ZIM이 발표한 향후 2분기 전망에 따르면 현금창출력은 12억~16억 달러

한화 약 1조 5000억~2조로 추정했고, EBIT는 마이너스로

5억 달러에서~1억 달러로 추정했습니다. 

기존 예측치보다 낮은 추정치지만, LNG 선박을 이용함으로

연료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라 발표했습니다.

 

현재 2,3,4분기 실적발표가 남은 상황이며, 

보통 해운주는 3,4분기 실적이 더 좋습니다. 

다만 이번 하반기는 기존의 계절성을 따라가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TRADING ECONOMICS

해운주식은 소비와 밀접해잇 습니다. 

미국 소비심리지수는 72 정도로 코로나 이후 회복세에 있습니다.

다만 금리인상, 부채이슈 등 아직 꺾어질 여지는 많아 소비회복은

곧바로는 어려워 보입니다. 사실 소비가 회복되면 대부분의 주식이

올라 참고만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마치며

 

 

해운주는 보통 하반기 실적이 좋습니다. 또 ZIM의 per 지수가 

상당히 낮습니다. 영업이익이 다소 낮긴 하지만 선박으로 인해

감가상각비가 높고, 선박을 새로 구입한 비용 등이 차감되면서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코로나 특수처럼 매출이 급증할 일은 없지만

유가하락과, 소비심리가 회복 됐을 때 한 번쯤 생각해 볼 기업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


.myButton { box-shadow:inset 0px 1px 0px 0px #fff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5%, #f6f6f6 100%); background-color:#ffffff; border-radius:6px; border:1px solid #dcdcdc;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666666; font-family:Arial; font-size:15px; font-weight:bold; padding:6px 24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ffffff;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6f6f6 5%, #ffffff 100%); background-color:#f6f6f6;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