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2

6/23 트럼프가 2주 기간을 줬고 짧은 반등장이 올거라 생각을 했음. 숏을 익절하고, 롱포지션을 조금씩 담아뒀음. 그중 곧 개정안 나올 수 있다는 보험쪽과 애플을 위주로 담음. 너무 섣불리 숏을 익절했단 생각이 듬. 월요일장은 꽤 큰 하락이 있을 것으로 보임.롱 매수 전 숏으로 헷징하려 생각은 했었으나 단타치다 타점을 안줘서 잠잤었음. 보통 이런식의 변동성이 많은 장에선 앺장 매매가 안정적이라 알람 맞춰놓고 잤는데 체력이슈로 못일어남. 이번에 이란 의회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통과됨. 실제로 봉쇄가 되냐에선 매우 단기간이거나 제한적이다 생각이 듬. 전에도 계속 제기됐던문제, 다만 요새 국채가 같이 움직이고 있음. 부채문제로 위험자산으로 인식됐던 미국채가 다시 안전자산으로 돌아온 느낌. 이번 전쟁 과정은 이란입.. 2025. 6. 23.
6/20 미국 참전 초읽기. 나스닥 선물 하락중. 브랜트유 선물 오름. 텍사스유 내림. 천가 오름. 점도표가 내 생각보단 매파적이지 않았음. 개인적으로 올해 점도표가 0.25BP위주로 좀더 매파적이지 않을까 했음. 내년도 점도표는 매파적으로 변했으나 올해는 변화가 없었음.전쟁 이슈도 있고 어느 정도 자제하지 않았나란 생각이 듬. 다만 매파적으로 볼만한 요소가 많은 것은 확실함. 수요일 나를 믿지 못하고 빅스를 다량 처분한게 좀 후회됨. 연준의 매파적 발언에도 국채 금리가 오름. 시장의 포커스가 금리 인하와 멀어진 느낌임. 아마 이란 이스라엘 갈등으로 인한 것으로 보임. 국채 금리가 오르니까 뭐랄까 트럼프가 이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볼 가능성도 있지 않나란 생각도 듬. 국채 금리 잡으러 그렇게 발광했는데, 연준의 매.. 2025. 6. 20.
6/18 감세안 통과가 늦어질 것으로 보임. 이러면 부채한도 협상도 늦어짐. 예상했던 불장이 늦어질 것으로 보임. 이란과 이스라엘 전쟁이 금요일날 발발. 갠적으로 빅스 레버를 추매했고, 장마감 때 잠깐 고민을 했음. 전쟁으로 인한 빅스 상승은 매우 짧게 가는 경향이 있음. 길게 가려면 이것이 에너지 가격에 큰 영향을 미쳐야 함. 이란 핵협상을 두고 선제타격을 한점 등에서 이번 전쟁이 하루 아침에 끝나지 않을 거란 생각이 들었고,홀딩을 했음. 일요일인가 월요일 본장전 미국 대사관이 공격당했다는 소식을 들음. 이 때 든 생각이 어쩌면 이번 전쟁이 생각보다 짧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두 나라간의 전쟁이 지속될지는 미국의 대대적인 참전 여부에 달려있음. 이런 상황속에서 미 대사관이 공격당했다는 점은 미국의 참전 명분이 .. 2025. 6. 18.
6/16 트럼프 감세 법안이 호재로 작동되기 전 일시적인 증시 조정으로 보임. 숏을 타고 있지만 미장은 롱이 맞음. 이란과 이스라엘이 현재 싸우고 있음. 침체로 가는 도화선인지는 지켜봐야 할거 같음. 침체가 아니라면 현재 5% 장기채 수익률은 매우 매력적인 매수 타점임. 이번주 boj부터 연준 금리 방향성까지 굵직한 이벤트가 있음. 5월달에 굉장히 매파적으로 말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매우 낮췄었음. 하지만 침체로 가면 애기가 조금 달라짐. 현재로선 유가가 오르며 인플레이션 압박이 될 여지를 보여줌. 이번주까진 매파적 방향이 맞을 것으로 보임. 하지만 이번 조정은 롱을 타기 위해 지켜볼 타점이라 생각이 듬. 이번 이란의 미국 대사관 타격은 이란이 미국에 호소하기 위한 수단이지 않나 함. 현재 이스라엘은 이란.. 2025. 6. 16.

.myButton { box-shadow:inset 0px 1px 0px 0px #fff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5%, #f6f6f6 100%); background-color:#ffffff; border-radius:6px; border:1px solid #dcdcdc;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666666; font-family:Arial; font-size:15px; font-weight:bold; padding:6px 24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ffffff;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6f6f6 5%, #ffffff 100%); background-color:#f6f6f6;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