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그룹은 대표적인 사설교도소를 운영하는 그룹입니다.
사설 교도소를 중심으로, 교정 시설 설계, 보안 시설, 처리 센터 및 지역사회 재진소 센터를 위한 설계 등을 하죠.
미국의 사설 교도소의 수익시스템은 재소자 1명당 비용을 지원받은 구조로, 재소자가 많은수록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비슷한 기업으로 코어시빅이 있으며, 차트 또한 비슷한 흐름을 보입니다..
이 둘은 흔히 공화당, 경기침체, 이민자 문제, 범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식이죠.
최근 이 둘이 회복세를 보이며,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오늘 그 이유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1. 지오그룹 배당금
지오 그룹은 2021년까지는 부동산 투자 신탁(REIT)의 형태를 띄었습니다. 그로 인해 배당금도 많이 줬죠.
많이 줄 때는 대략 연 17%가량이였는데, 2022년부터 일반 기업으로 전환되면서
전과 같은 고배당은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2. 지오그룹 및 코어시빅의 주가 하락 이유
과거 미국은 범죄율은 줄어듬에도 수감자 수는 증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있었습니다.
또한 흑인 남성의 수감율은 백인 남성 수감률의 6배였습니다.
이러한 인종간의 격차, 수감자수를 줄이기 위해 당시 미국은 일부 범죄에 대해 형량을 줄이거나,
죄의 기준을 완화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손봤던 범죄는 마약과 재산 관련 범죄였습니다.
가령, 마리화나가 합법화된 주들이 늘었고, 절도 관련 범죄 기준이 완화가 되었죠.
또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해 경범죄자 수감을 금지하는 주들도 생기면서, 지오 그룹 및 코어시빅의
주가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feat. 고담이 되어가는 샌프란시스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00814460001233?did=NA
3. 지오그룹 주가 상승 이유
①. 물가 상승의 압박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게 타격이 심합니다.
이는 성매매 등 불법행위를 야기시키기도 하고,
절도같은 재산 관련 범죄를 급증시키죠. 다시 말해 인플레이션은 범죄율을 증가시킵니다.
또 경기와 반대로 가는 교도소주 특성상,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상승한 점도 있습니다.
②. 9월에 일어난 주가의 상승은 이민자를 둘러싼 정책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대표적 이민정책 방향은 이민의 축소였습니다.
미국- 멕시코 사이에 장벽을 건설해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고, 선별적으로 이민자를 받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장벽건설 중단과 난민 재정착 프로그램, 미등록 청소년 임시 보호 등 진보적인 이민정책을 보이죠.
특히 5월에 기존의 코로나 확산우려로 이민자를 즉각 추방하는 정책을 폐쇄함으로 미국-멕시코 이민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이민자들을 구금할 시설을 보유한 지오 그룹은 크게 이익을 얻었죠.
4. 지오그룹 주가 전망
2024년 대선에서 공화당이 집권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과 경기침체로 인한 범죄율 증가 우려가 합해지면서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대선까지 아직도 1년 가까이 남아 추가 상승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또한 지오그룹은 2021년까지 리츠형태를 보였으며, 리츠의 주가는 금리와 역의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다만 비용적인 문제로 미행정부는 구금소를 폐쇄하고 싶어 하고,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는 기업이라 변수는 많아 보입니다.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월드 애퀴지션(DWAC) 주가 전망 - 트럼프 대선주 - (0) | 2024.01.23 |
---|---|
펀웨어(PHUN) 및 디지털 월드 애퀴지션 주가 급등 분석 - 트럼프 대선 관련주- (0) | 2024.01.19 |
비트 브라더 리미티드(BETS) 주가 전망 (1) | 2023.10.27 |
팅고 그룹(TINGO GROUP) 사기일까? 힌덴버그 보고서 분석 및 주가 전망 1편 (0) | 2023.10.17 |
TMF, TLT 전망 (미국 장기 국채 금리 전망) (0) | 2023.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