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4

by 주차한입 2025. 3. 4.
반응형

출처 - 네이버

일본의 금리는 현재 0.5

과거 7월 일본은 금리를 올렸고 앤캐리 청산이 나타남. 

출처 - 네이버

청산 이후 미국 증시는 공포에 얼어붙은 반면 국채 금리는 9월 최저를 찍음. 

이번에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날 것인가?

현재 미국채 금리는 고점에서 많이 내려온 상태 반면 일본 10년물은 올라간 상황

사실 금리차는 이미 많이 좁혀졌고, 이미 어느정도 자본의 유출이 진행되지 않았나 생각이 듬. 

아마 이추세가 지속되는한 미증시에서 자본유출은 지속되지 않을까 함. 

트럼프의 국가부채를 줄일 떄 가장 쉬운 건 미국채 금리를 낮추면 됨. 

물론 이 과정이 순탄치는 않겠지만, 가장 손쉽게 정부지출을 줄이는 방안이긴 함. 

적어도 2개월은 이 추세가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 

그 떄까지 미증시 저점을 보지 않을까 함. 

개인적인 소설이지만, 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중동의 증산을 위한 발판이지 않을까 함.

너무 편향적인 시선일 수 있지만, 관세는 에너지 가격의 상승을 야기시킴. 

트럼프의 방향과 정반대의 결과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생각. 

중동은 현재 힘든 상황. 그들이 바라는 점은 일정 이상의 원유 가격. 

중동이 증산하면 이번 관세에 대한 밸런스를 어느정도 맞출 수 있다고 봄. 

하지만 시장은 항상 이상적인 방향으로만 흘러가지 않았음. 

 

공퍼탐욕지수가 최근 20이하로 내려갔었음. 

역사적으로 20이하는 좋은 매수 타점이였음. 최근 20 밑으로 찍먹하고 옴. 

물론 증시는 바로 반등하진 않지만 1~2개월 정도에 바닥찍고 턴어라운드 하는 모습을 많이 보임. 

사실 근 1년간 전쟁이슈, 앤캐리 청산 이슈 이후 찍힌 바닥권. 

이런거 보면 트럼프가 대단하긴 함. 

 

 

 

반응형

댓글


.myButton { box-shadow:inset 0px 1px 0px 0px #fff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5%, #f6f6f6 100%); background-color:#ffffff; border-radius:6px; border:1px solid #dcdcdc;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666666; font-family:Arial; font-size:15px; font-weight:bold; padding:6px 24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ffffff;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6f6f6 5%, #ffffff 100%); background-color:#f6f6f6;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