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전략적 준비 자산?
스테이블 코인이 국채 수요를 앞당긴다?
국채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 코인 발행.
원래는 은행에 돈 넣으면 그 돈의 일부로 국채 샀음
테더도 들어보니 비슷한 방식.
근데 국채를 직접적으로 담보로한 스테이블 코인.
국채의 수요를 늘릴 수 있다고는 생각.
최근 비트코인 공부를 시작. 알트는 건너 뛰고 메인만 볼 생각.
하는 이유는 대세 롱과 그날의 숏을 위한 준비
코인은 근데 공부할 수록 어려운게 있음.
1. CBDC 왜하는지 모르겠음. 이런 거 보면 내 점점 머리가 둔해지고 도태되는 가 싶음.
2.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발행
금을 담보로 파생물을 만들듯이 달러를 기반으로 코인을 발행.
과거 금본위제는 유동성 등 여러 문제로 실패함.
그 후 현재의 화폐 시스템이 됨. 현재 기축통화는 미 달러.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을 많이 이용할 수록 달러의 입지가 강해진다까진 알겠는데, 반대로 약해질 수도 있지 않나 란 생각 이 듬. 그리고 그냥 위워크처럼 혁신을 과장한 과대포장같기도 함.
이걸로 대체 뭘한다는 거지?
달러의 입지는 미국의 기술력과 군사력 그것으로 인해 이루어진 힘이라고 생각함.
근데 도전자는 많은 상황. 각국이 자기 화폐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면 그냥 서로 화폐 발행하는 거랑 똑같지 않나란 생각이 듬. 그냥 부채를 줄이기 위한 단기적인 시도인가?
미국은 현재 비트코인을 보유중이라고 함.
근데 이게 스테이블 코인이랑 무슨 상관인가? 달러 기반이라고 들은 것 같은데
아니면 비트코인 기반의 뭔가가 있나? 그것이 금본위제와 다를바가 무언가?
그냥 비트코인이 어느덧 금과 동일한 지위로 올라온 것인가?
단 20년의 시간만에, 화폐로 쓰였던 기간도 없이 수백 수천년을 뛰어넘은 것인가?
하지만 대세가 롱이라면 이러한 의문은 집어둬야 한다고 생각함.
개미는 탐욕에 몸을 던져야 돈을 범. 다만 치말하게 던져야지
판을 깔아두면 그 판에 올라타는 것이 예의라고 봄.
그저 한송이의 튤립을 위해 나방은 가로등에 뛰어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