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28

by 주차한입 2024. 10. 28.
반응형

월물 교체하면서 12월물 -2%

월물교체일을 놓쳤음.

경조사가 겹쳐 볼 틈이 없었음. 

다만 보일은 1월물이고 이미 콘탱코 쳐맞은 상태. 

추세는 여전히 상방이지 않을까 함.

 

현재 10년물 금리 상승추세.

10년물 금리가 높아지면서 은행, 유틸리티 종목은 소폭 하락. 

테슬라 등 대형주들은 오름. 

유틸리티 종목은 경기침체 방어주로 워픽성이 담은 주.

언뜻 기사인가 봤는데 이로인해 워픽을 조롱하고 있다고도 본거같음. 

 

금리가 인하되면서 채권으로 수요가 몰렸고, 채권 가격이 하락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 채권금리는 높아짐. 

금리 인하시기에 나오는 단기간 조정. 

나스닥 추세는 여전히 상방으로 대선전까진 무조건 롱만 진입할 생각. 

아이온큐 차트가 이뻐서 디웨이브, 자파타 등 양자 관련 주식을 담았었음.

디웨이브 움직이 재미 없어 소폭 익절, 자파타 상폐 결정 약 100만원 안되게 손실.

 

경기 선행지수 하락추세, 동행지수 상승추세

동해지수 상승이 하락으로 전활될 때 보통 경기침체라고 말함. 

쨋든 짧게는 롱 중단기적으로는 숏장이단 거. 장기는 미장에선 무조건 풀롱.

 

기존에는 금리 인하시 강달러가 꺽이면서 약달러로 돌아서는 모습

하지만 누군지 기억은 안나지만 중금리 시대가 오면서 현재 강달러 추세는 어느정도 유지될 것이라고 말함.

미국 유명한 애 중 하나였는데, 현재 그 모습이 유지되는 모습. 갓 애매리카

 

현재 미국 TGA가 높은 모습. 

단기간 유동성은 충분해 보임. 

고로 SOXL , 이더리움, BOIL , YINN 주요 투자 예정. 

이미 보유중.

코인이 가진 경제관은 모르나 차트가 상방으로 한번 더 쏟을만 한 자리라고 판단. 

BOIL 또한 정황이 롱에 더 유리해 보임.

SOXL 반도체 차트가 상방으로 갈만함.

금리 인하발표로 장기채 금리도 더 내려갈 가능성도 높아 보임. 

또한 미국의 주요 산업이 반도체로 향할만큼 타주식에 비해 오를 여건이 높음. 

결론은 일단 금리 인하시 겪는 약달러로 자본이 유출되면서 유동성이 줄어드는 상황은 기존보단 적을 거라고 예상.

없진 않을 것. 없으면 말이 안됨. 내년 상반기까진 유동성이 받쳐줄 모양새. 

우선 선거전까지 홀딩 후 인버스 각 보이면 맛만 볼 예정. 

경기 지표는 주식시장의 후퇴를 말하고 있음. 다만 이전과 다른 흐름이 나오고 있어 

확실히 어려움. 이럴 때 정배는 관망이였음. 

버핏이나 드러겐 밀러가 괜히 보수적으로 시드를 운용하는 게 아님. 

상승할 여력이 많으나 하방할 여럭도 많아 보임.

 

미국의 리쇼어링. 강대한 미국

듣기엔 좋으나 물가가 올라갈 여지가 높아 보임. 

이건비 등 비용 문제로 아웃소싱했지만, AI에 대한 패권을 가지기 위해 

리쇼어링. 이것이 미국으로 자본을 유입시키는 주요 원인이면서

중금리로 갈 수밖에 없는 원인 중 하나이지 않을까 함.

아님 말고

리쇼어링을 위해선 정부의 많은 자금이 필요. 

더 많은 부채. 이를 위해선 시장에 어느정도 긴축을 줄 필요가 있지 않나는 생각도 듬. 

그게 내가 인버스를 잡으려고 하는 이유. 

미국은 대규모 투자로 반도체 업체를 부흥시키겠지만, 

결국 시중에서 어느정도 자본을 끌어들여야 하지 않냐는게 내 생각.

SQQQ와 SOXS 자리값을 찾아볼 생각. 

 

향후 4~5년 뒤면 미국이 횡보장을 할 가능성이 높음. 

기술의 발전도 많겠지만, 리쇼어링 부작용도 분명 생길 시점. 

또한 중국의 AI 기술 발전력도 무시 못함. 

중국 안면인식 기술 보고 진짜 많이 놀람. 

탈북자가 급감한 원인 중 하나로 뽑힐 정도. 

이미 중국 또한 기술 강대국. 이미 전반적으로 중국이 한국 기술력을 넘어 섰다고 봄. 

사실 진작 넘어 섰지만 쨌든 미국의 견제에도 여전히 강한 나라임.

다만 중극이 더 성장하려면 식량 안보, 에너지 안보가 필수임. 

미국 같이 세일가스 NO.1 국가가 아님. 

패권국은 여전히 미국이고, 2등은 결국 중국이라는 애기. 

다만 식량 안보와 에너지 안보고 갖춰지면 이는 또 다른 애기. 

 

 

 

 

반응형

댓글


.myButton { box-shadow:inset 0px 1px 0px 0px #fff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5%, #f6f6f6 100%); background-color:#ffffff; border-radius:6px; border:1px solid #dcdcdc;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666666; font-family:Arial; font-size:15px; font-weight:bold; padding:6px 24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1px 0px #ffffff;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f6f6f6 5%, #ffffff 100%); background-color:#f6f6f6;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